블로그, 홈피…‘디지털 유산 상속’어떻게 할 것인가
시사저널 | 정락인 | 입력 2010.12.09 18:01 |
위는 하재근씨의 'TV이야기'. 아래는 의학박사 양기화씨의 '눈초의 블로그'. |
현재 국내에 개설된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은 3천만개가 넘는다. 국민 두 사람당 1개의 디지털 재산을 갖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때문에 '디지털 유산'은 전 국민의 공통 관심사가 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의 가치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매월 일정 정도의 수익을 올리는 '재산적 가치' △특정 분야의 자료들을 모아 놓은 '학술적 가치' △자신의 인생 역정을 담고 있는 '정신적 가치' △재산·학술·정신적 가치가 집약된 자산 △망자에 대한 추모의 공간 등으로 볼 수 있다.
조인스닷컴은 지난 8월5일부터 7일까지 네티즌 7백88명을 대상으로 '사자의 블로그(미니홈피) 관리'를 묻는 조사를 진행했다. 이 중 '폐쇄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절반에 해당하는 46%(3백59표)였고, '폐쇄 후 콘텐츠는 상속인에게 넘긴다'는 의견은 33%(2백60표)로 나타났다. '가족이 상속해 추모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21%(1백69표)나 되었다.
파워블로거들 "사후에 '생전의 가치' 이어가야"
함영민씨 ⓒ시사저널 박은숙 |
랭키 닷컴 개인 블로그 순위 1위인 '함영민의 디카 갤러리'( www.dicagallery.com )는 1일 평균 방문자 수가 3만명에 달한다. 어지간한 전문 매체를 뺨칠 정도이다. 운영자인 함영민씨(34)는 대학에서 정치학을,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졸업 후에는 IT 전문지에서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2005년 7월 'IT 전문기자'와 '사진 전공'이라는 장점을 살려 'IT 제품 리뷰와 사진'을 콘셉트로 한 블로그를 개설했다.
함씨의 블로그는 네티즌들에게 입소문이 나면서 유명세를 탔고, 그도 덩달아 파워블로거 반열에 올랐다. 블로그가 뜨면서 그의 인생도 바뀌었다.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아예 '블로그 운영'을 통한 부대 사업에 나섰다. 블로그의 콘텐츠를 모델로 해서 책을 내자는 출판사의 제의를 받고 그동안 여러 권의 책을 출간했다. 디지털 이미징 강사와 디지털 제품의 '리뷰어'로도 활동하고 있다. 각종 언론 매체 등에 기고하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그의 블로그는 단순한 소통의 의미를 넘어서 재산·학술·정신적 가치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함씨는 블로그를 통한 수익은 '비밀'이라며 공개하기를 꺼려 했다. 하지만 블로그를 매개로 해서 한 달에 수백만 원의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함씨는 자신의 사후 블로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는 가족들이 상속해서 추모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대신 블로그를 사회에 환원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함씨는 "내가 (세상에) 없다면 블로그의 운영이 중단되어야 한다. 대신 온라인 장학회로서 한 사람을 기억하는 의미로 해마다 내 유산 중 일부를 IT나 디지털 이미징 관련 장학생을 뽑아 운영하고, 장학금을 주는 이유와 장학생 명단을 블로그에 공개하며 사회에 환원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함씨는 블로그의 가치는 운영자의 창조력과 노력 여하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았다.
허형준씨 ⓒ시사저널 전영기 |
허씨는 사회에 진출하기 전에 '블로그 IT 스타'라는 명성을 얻었다. 최근 2년 동안 텍스트큐브닷컴 '우수 블로거' '베스트 블로그 테마왕' 등으로 선정되었고, 각 포털 사이트의 블로거 미팅에 단골로 초대받았다.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커뮤니티 회원으로 2년째 선정되어 '마이크로소프트 MVP'로도 활동하고 있다.
허씨에게 블로그는 '애정의 산물'이다. 한때는 하루 5~6시간 정도를 투자하며, 자신의 블로그 가치를 창출했다. 하루 평균 방문자 수는 1만2천명 정도이다. 블로그를 통해 매월 30만원 정도의 수익을 올린다. 허씨는 자신의 블로그는 재산·학술·정신적 가치를 모두 포함한다고 보았다.
사후 블로그의 운영과 관리는 자신과 같은 'IT 마니아'가 이어받아 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가족에게 상속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허씨는 "내가 세상을 떠난다면 내 블로그는 나만큼 컴퓨터와 윈도를 좋아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고, 사람들과 소통하기를 좋아하는 분에게 양도할 생각이다. 물론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해낼 능력이 있어야 블로그를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가 원하는 바는 자신의 블로그가 컴퓨터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하재근씨 ⓒ시사저널 전영기 |
하씨에게 블로그는 'TV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들을 모으고 발표하는 공간'이다. 다수의 언론 매체는 하씨의 블로그를 인용하며 대중문화를 바라보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블로그를 '가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을 경계했다. 단순히 '개인적인 글 모음'에 지나지 않는다'라며 사후에는 누군가에게 자료로 활용되기를 원했다. 운영에 대해서는 "넘겨받은 사람이 알아서 했으면 한다"라며 자율에 맡겼다. 하씨는 그러나 "누군가 오랫동안 블로그를 통해 데이터를 모으고 분류해 놓았는데 그것이 사라진다면 사회적 손실이다. 그것을 다른 사람이 계승해서 수십 년 이상 이어진다면 대단히 의미 있는 사회적 자산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의학박사인 양기화씨(54)는 건강보험 관련 기관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2004년 12월의 '눈초의 블로그'( http://blog.joinsmsn.com/yang412 )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양박사의 블로그에는 각종 의학 관련 자료가 수북하다. 보건의료 정책과 관련된 기사에서 치매에 관한 건강 자료, 건강하게 늙어가기와 품위 있는 죽음에 관한 정보 등이 많다. 때문에 그의 블로그는 의학 분야의 전문 블로그로 학술적 가치가 크다. 건강이나 치매와 관련된 정보나 정책 자료는 관련 전문가들이 저술에 참조하고 있고, 전문가들도 자주 인용하고 있을 정도이다.
양기화씨 ⓒ시사저널 전영기 |
싸이월드의 미니홈피는 '추모의 공간'으로…
블로그가 '자산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반면 싸이월드의 미니홈피는 고인에게는 '추모'의 성격이 짙다. 일부 미니홈피 운영자들이 사업자 등록을 내고 상업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며 일정 정도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미니홈피'의 특성상 고인에게는 '추모 공간'으로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연예인 등 유명인들의 경우가 그러하다.
2008년 10월 자살로 생을 마감한 탤런트 최진실씨의 미니홈피는 암묵적으로 제3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최씨가 사망한 후 미니홈피의 제목은 '하늘로 간 호수'로 바뀌었고, 하루 평균 2천여 명이 홈피를 찾고 있다. 게시판이나 방명록에는 그를 그리워하는 지인과 팬들의 글이 꾸준하게 올라오고 있다. 천안함 사건 때 희생당한 일부 장병들의 미니홈피도 여전히 추모 공간으로 남아 있다.
2005년 6월19일 경기도 연천 28사단 530GP에서 여덟 명의 장병이 죽고 네 명이 부상당하는 일이 있었다. 당시 국방부는 '김동민 일병의 총기 난사'로 인해 사망했다고 했지만, 유족들은 '국방부 발표가 조작되었다'라며 지금까지 진실 규명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유족들은 공동으로 '전방부대 희생자 추모'( http://cafe.daum.net/050619sadgun ) 카페를 만들었다. 이곳을 통해 희생자들의 뜻을 기리면서 의혹을 알리는 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사망한 장병들의 미니홈피는 여전히 추모 공간으로 남아 있다.
향후 '디지털 유산'에 대한 가치는 더욱 높아갈 전망이다. 기존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서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네티즌들이 추구하는 디지털 욕구도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디지털 유산을 관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업종이 탄생하고, 관련 분야의 뉴 트렌드가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성시대'의 패러다임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정락인 / freedom@sisapress.com
Copyright ⓒ 시사저널(http://www.sisapres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등산,캠핑,기타자료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모두가 즐거운 성탄절을 맞이하기를 바랍니다 (0) | 2010.12.12 |
---|---|
<주택시장 이상 조짐.."급매물 동났다"> (0) | 2010.12.12 |
아파트 공급 얼마나 줄어드나 (0) | 2010.11.13 |
양심불량 카센터, 이렇게 솎아내라 (0) | 2010.09.30 |
전세값 급등은 집값 상승의 전조다 (0) | 201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