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산,캠핑,기타자료/등산, 캠핑 지식

캠핑의 계절, 초간단 배낭 짐 싸기

by 시리우스 하우스 2012. 10. 2.

 

캠핑의 계절, 초간단 배낭 짐 싸기

케플러의 추측’ 이용해 짐 넣으면 효율적

2012년 09월 29일

일러스트 김석희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은 가을, 사람들은 여행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마음과 달리 이것저것 짐을 싸들고 갔다가 무거운 짐 때문에 피로감만 커지기 쉽다. 즐거운 여행을 위해서라면 짐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다. 짐을 줄이는 데도 요령이 있다. 특히 수학을 알면 효과적으로 짐을 줄일 수 있다.

면심 입방 구조
짐을 쌀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남는 공간(공극) 없이 가방 속을 꼭꼭 채우는 것이다. 보통은 큰 짐과 작은 짐이 섞여 있기 마련이다. 짐을 쌀 때는 큰 짐을 먼저 채워야 공극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모양이 변해도 되는 작은 짐으로 공극을 차근차근 메우면 된다.

트렁크 안에 꼭 맞는 다용도 상자를 여러 개 준비하자. 그 뒤 상자 안에 큰 짐을 먼저 넣고, 남는 공간 사이사이에는 모양이 변형돼도 상관없는 옷들을 꾹꾹 눌러 넣는다.

하지만 그래도 조금은 빈 틈은 남기 마련이다. 혹시 주어진 공간을 최대한 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하학적 구조는 없을까.

물건을 최대한 둥글게 포장하는 것이 비결이다. 미국 매사추세츠 클라크대 물리학과 아샤드 쿠드롤리 교수팀은 주어진 부피 안에 물건을 최대한 채울 수 있는 가장 좋은 형태는 공 모양(球形) 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실린더에 공을 최대한 담으면 74%까지 채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7세기 초, 케플러는 여러 구를 빽빽하게 배열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면심 입방 구조를 꼽았다. 사진은 케플러 추측을 이용해 과일을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두 가지 방법이다.
연구팀은 또 물체가 다면체일수록 공간을 채우는 비율이 줄어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면이 하나도 없는 구(球)부터 사면체, 육면체, 팔면체, 십이면체, 이십면체로 실험한 결과 아무렇게나 채워 넣을 때 구가 빈 공간의 59%를 채웠다. 육면체는 54%, 다른 도형들은 50%를 넘기지 못했다.

그렇다면 구를 어떻게 배열해야 가장 빽빽하게 담을 수 있을까. 여기에 대한 답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먼 옛날 이미 내놨다. ‘여러 개의 구를 가장 빽빽하게 배열하는 방법은 면심 입방 구조(정육면체의 각 모서리와 각 면의 중심에 동일한 크기의 구가 놓여진 구조)’라고 추측했다. 이를 ‘케플러의 추측’이라고 한다.

당시 케플러는 자신의 추측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다. 무려 400년 뒤인 1998년이 돼서야 미국의 수학자인 토머스 헤일스가 컴퓨터를 이용해 약 250쪽에 달하는 논문으로 케플러의 추측을 증명했다.

‘수학동아’ 9월호에서는 배낭을 쌀 때 꼭 필요한 짐을 고르는 배낭문제와, 기하학적 원리를 이용해 텐트를 고르는 법, 매듭이론을 이용해 튼튼한 로프 매듭 짓는 법 등 캠핑에 숨어 있는 수학 이야기를 품성하게 담았다.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캠핑을 확인해 보자.

김정 기자 ddanceleo@donga.com

 

 <1박 2일, 캠핑의 과학>

   2009년 09월 09일
    

아직까지도 고급 펜션이나 휴양지 근처의 콘도에서 보내는 휴가를 계획하고 있나요? 야영을 하면서 겪어야 할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끔찍하다고요? 캠핑 장비가 발달하면서 이제는 대자연 속에서도 편안한 휴가를 보낼 수 있답니다.

요즘 캠핑 장비 대부분은 휴대하기 좋도록 부피와 무게를 줄였고 외부충격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높였어요. 게다가 전국에는 차로 1~2시간 거리 떨어진 거리에 캠핑장이 약 200여 곳 운영되고 있답니다. 그래도 고민된다면 캠핑 초보인 제가 1박 2일 동안 겪은 체험기를 들려드릴게요.

2009년 9월 0일 오전 10시 날씨: 맑음
오늘은 ‘아기다리~고기다리~던’ 캠핑을 떠나는 날이다. ‘집 나가면 개고생’이라는 모 TV 광고가 떠올라 큰맘 먹고 고가의 텐트도 질렀다. 설레서일까. 마치 소풍가기 전날 밤의 초등학생처럼 잠을 못 이루고 이리저리 뒤척였다.

차로 1시간 반을 달려 경기도 여주의 한 캠핑장에 도착했다. 한적한 곳을 찾아 짐을 풀었다. 바로 옆에서 한 가족이 텐트를 설치하고 있었다. 힐끗 살펴보니 캠핑카에 각종 장비까지 두루 갖춘 모습이 말로만 듣던 캠핑 고수임에 틀림이 없었다. “혼자 오셨나 봐요?” 아버지로 보이는 아저씨가 반갑게 말을 걸었다.

사실 나는 텐트 하나를 고르는 일도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75D/폴리에스테르/차광피그먼트/UV코팅.’ 제품 대부분이 이처럼 암호 같은 문구로 쓰여 있었기 때문이다. 아저씨에게 물어보니 ‘75D’는 텐트 원단을 만드는 원사(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수치란다.

실의 길이가 9000m일 때 무게가 1g이라면 1D(데니어), 무게가 75g이라면 75D로 나타내는 식이다. 길이가 같은데 더 무거운 75D는 1D보다 실이 굵다. 그래서 소형텐트나 경량텐트를 만들 때는 얇은 실을, 대형텐트나 튼튼한 텐트를 만들 때는 두꺼운 실을 쓴다고 한다.

텐트에 많이 쓰이는 원단에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가 있다는 설명도 들었다. 폴리에스테르는 습기에 강할 뿐 아니라 잘 찢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더러움이 잘 타고 정전기가 잘 생기는 단점이 있다.

“반면 폴리아미드는 폴리에스테르보다 탄력성이 좋고 강도가 높아요. 하지만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을 경우 수분을 흡수하죠.” 극성 부분인 아미드기(-CONH)가 물과 수소결합하기 때문이다. 보통 폴리아미드는 상온(20˚C), 상대습도 100%에서 중량의 약 9%까지 수분을 흡수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폴리아미드에서 비극성부분인 메틸렌기(-CH2)는 높이고 아미드기의 농도를 상대적 줄였다고 한다.

또 최근 나온 제품은 텐트 표면에 ‘차광피그먼트’ 코팅을 해 내부로 투과되는 태양빛도 줄일 뿐 아니라 UV코팅을 해 자외선까지 차단한다는 아저씨의 말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캠핑장비의 발달로 대자연 속에서도 편안한 휴가를 보낼 수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2009년 9월 0일 오후 3시 날씨: 흐림
“좋은 폴을 구입하셨네요.” 텐트의 뼈대 역할을 하는 폴을 조립하는 동안 아저씨는 폴에 대해 설명했다. 내가 산 폴은 알루미늄에 구리와 마그네슘을 첨가해 만든 ‘두랄루민 폴’이라고 했다. “두랄루민의 강도는 철과 비슷하지만 무게는 철의 약 3분의 1로 훨씬 가벼워요.”

갑자기 아저씨가 폴을 부러트릴 기세로 구부렸다. 깜짝 놀라자 아저씨는 하하하 웃으며 “두랄루민은 탄력성이 좋아 이렇게 U자 모양으로 휘어도 부러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원래 두랄루민은 비행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개발됐지만 최근에는 레저용품에도 많이 쓰인다.

아저씨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든 폴을 사용하고 있었다. “FRP는 철보다 강하지만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탄성력도 좋아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나 에폭시수지에 지름 0.1mm 이하로 가공한 유리섬유를 덧씌워 만들기 때문이죠.” 아저씨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나 에폭시수지는 FRP의 강도를, 유리섬유는 유연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2009년 9월 0일 오후 5시 날씨: 소나기
후두둑 갑자기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비를 피하기 위해 텐트 안으로 들어왔다. 아저씨는 “캠핑을 하다 보면 지금처럼 예상치 못한 순간에 비가 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타프는 준비 안 하셨나 봐요?” 사실 그때까지 난 타프가 뭔지 몰랐다. “타프는 텐트 위에 치기도 하고 텐트 주변에 설치해 조리공간이나 활동공간을 확보하는 데 쓰는 일종의 천막이에요. ‘타폴린(Tarpaulin)’의 약자로 방수가 되는 천이란 뜻이죠.”

본래 타폴린은 돛이 물에 젖지 않도록 하고, 비가 올 때 갑판을 덮는 섬유에 방수를 하기 위해 기름 성분인 타르(Tar) 칠을 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최근에는 섬유에 방수능력이 있는 합성섬유 수지를 코팅해 타폴린을 만든다.

“대부분의 텐트나 타프는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해 방수능력을 높여요. 텐트나 타프에는 ‘내수압 3000mm’와 같은 표기가 있는데, 내수압이란 텐트나 타프에 쓰인 원단의 방수능력을 알려주는 수치예요.” 지름 10mm의 원통을 원단 위에 세운 뒤 안쪽으로 물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물기둥의 높이를 재 내수압을 측정한다. 내수압 3000mm의 제품은 텐트 위에 높이 30cm의 물기둥을 세워도 물이 새지 않는 셈이다.

빗줄기가 굵어지는 것 같아 잠시 나가봤다. 비가 텐트에 닿자마자 구슬처럼 주르륵 흘러내린다. 테플론으로 한 번 더 코팅한 덕분이다. 테플론은 듀폰(Dupont)사가 만든 제품 이름으로 프라이팬에도 쓰인다. 테플론으로 프라이팬 바닥을 코팅하면 물방울이 스며들지 않는다. 텐트와 타프도 테플론으로 코팅하면 표면 저항이 작아져 빗방울이 고이지 않고 흘러내린다. 다시 들어와 텐트 안에 누웠다. 마음이 한결 놓여서일까. 빗소리마저 경쾌하게 느껴진다.

2009년 9월 0일 저녁 7시 날씨: 갬
깜빡 잠이 들었다. 어느새 비는 그쳤고 비를 뿌렸던 먹구름도 모두 물러갔다. 해는 서산에 걸쳐 뉘엿뉘엿 지고 있다. 갑자기 허기가 진다. 어디선가 맛있는 냄새가 풍겨왔다.

아저씨가 가족들과 함께 가솔린 스토브로 음식을 하고 있었다. “가솔린은 계절이나 날씨와 습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오늘처럼 비가 오고 난 뒤 습한 경우에도 가솔린은 일정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죠.”

소형 가스레인지에 많이 쓰는 부탄가스는 겨울철에는 사용하기 어려워 캠핑 장비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다. 부탄가스의 끓는점이 -0.5˚C로 기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 화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캠핑장에서는 가솔린이나 액화석유가스(LPG)를 많이 쓴다. LPG는 끓는점이 -42˚C~-1˚C로 부탄가스보다 낮다.

저녁식사를 마치자 해가 완전히 넘어가 금방 어둑어둑해졌다. 음식을 정리하고 텐트 안에 들어와 지금 이 일기를 쓴다. 내일은 또 어떤 일이 펼쳐질까. 쉽게 잠을 못 이룰 것 같다.

글: 이준덕 동아사이언스 기자 cyrix99@donga.com